욥 27:1 – 23 (본문읽기)
* 세 친구들에 맞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고 주장하는 욥의 대답을 들어보면 욥 또한 의인과 악인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그 판결의 때가 다를 뿐입니다. 세 친구들은 세상에서 받는 고난 혹은 복을 그 판결로 여기고 있는 반면 욥은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섰을때로 보고 있습니다. “불경건한자 (사곡한 자)가 이익을 얻었으나 하나님이 그 영혼을 취하실 때에는 무슨 소망이 있으랴” 비록 욥의 탄식 속에는 자신이 겪는 고난이 억울하고 그래서 하나님을 향하여서 볼멘소리를 내고 있기는 하지만 그의 심중에는 하나님의 때애 판결해 주실 것을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코 그의 결백과 소망을 포기할 수 없는 것입니다. “나는 단정코 너희를 옳다 하지 아니하겠고 죽기 전에는 나의 순전함을 버리지 않을 것이라 내가 내 의를 굳게 잡고 놓지 아니하리니 일평생 내 마음이 나를 책망치 아니하리라” 여기에 욥이 말하는 인생의 지혜가 있습니다. 불의의 복을 누리고 있는 이나 의의 고난을 받는 이나 악인, 의인 매한가지로 공의로 심판하실 하나님 앞에 서게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생의 운명이 불의의 복을 누리는 악인에게는 두려움이 될 것이고, 고난 중의 의인에게는 위로가 될 것입니다. “하나님이 그를 아끼지 아니하시고 쏘시나니 그가 그 손에서 피하려 하여도 못할 것이라”
지난 주일 설교시간에 나눈대로 인생의 끝은 죽음이 아니라 죽음 후에 있는 하나님의 심판까지가 우리의 인생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러기에 욥과 같은 고난의 자리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순전함을 지킬 수 있고, 세상에서 누리는 복의 여부로 자고하거나 실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 앞에 설때까지 믿음의 길을 걸어야 합니다.
오늘 하나님 앞에까지 이어지는 인생의 길을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걷게 하소서.